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소화약제의 분류 소화약제의 분류 소화약제는 그 성상과 기능을 기준으로 수계(水系)와 가스계로 대별되며 이들을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물 수계 소화약제 포소화약제 소화약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가스계 소화약제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분말 소화약제 [그림 1] 소화약제의 분류 분말 소화약제는 소화 설비가 가스계 소화약제의 소화 설비와 유사하기 때문에 흔히 가스계 소화약제로 분류된다. 수계와 가스계 소화약제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비교해 보면 [표 1]과 같으며 이들의 적응 화재와 소화 효과는 [표 2]와 같다. [표 1] 각종 소화약제의 특성 비교 종류 특성 수계 소화약제 가스계 소화약제 물 포 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 분 말 주된 소화 효과 냉각 질식, 냉각 질식 부촉매 부촉매, 질식 소화속도 느리다 느리다 빠르다 빠르다 빠르다 .. 2024. 1. 31.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이산화탄소소화설비 1.개요 질식 작용에 의한 소화를 목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산소의 농도를 저하시켜 연소 작용을 정지시키는 소화설비이며, 저장용기, 화재감지장치, 분사헤드, 기동장치, 배관, 제어반, 비상전원, 자동폐쇄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작동원리 및 계통도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산화탄소 작동원리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산화탄소 계통도 3.용어의 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전역방출방식"이란 고정식 이산화탄소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 방호구역 내에 이 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설비를 말한다. 2. "국소방출방식"이란 고정식 이산화탄소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2024. 1. 30.
옥외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 1.개요 옥외소화전 설비는 건물의 아래층(1 ~ 2층)의 초기의 화재뿐만이 아니라 본격적인 화재에도 적합하게 되며, 인접한 건물로의 연소의 방지를 위해서 건축물 외부로부터의 소화작업을 실시를 하기 위하여 사용 되는 설비로서 자위소방대가 사용을 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소방서의 소방대 또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 소화설비를 말을 한다. 2.옥외소화전 종류 옥외소화전 설비는 수원, 가압송수장치, 옥외소화전, 배관 등으로서 구성이 됨을 보이며, 옥내소화전 설비와 거의 비슷한 면을 보이게 된다. 단, 화재 시에나 또는 인접한 건물의 연소에 대처를 하지 않게 되면 안 되기 때문에 옥내소화전 설비에 비해서 그 방수압력이 높음을 보이고, 방수량 또한 많음을 보이며, 소화성능을 확대를 하게 된 것이.. 2024. 1. 23.
옥내소화전설비 옥내소화전설비의 개요 옥내소화전설비는 건물내에서의 화재발생시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 또는 자위소방대원이 이를 사용하여 발화초기에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건물내에 설치하는 소화설비로서 사용상의 주체는 소방관이 아니고 현장에 있던 사람, 자위소방대, 근무자 등이다. 옥내소화전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는 계통도(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원, 가압송수장치, 배관, 옥내소화전함, 송수구, 제어반, 비상전원 등으로 되어 있다. ​ 옥내소화전설비 계통도 2. 용어의 정의 및 설치기준 2.1 용어의 정의 1. "고가수조"란 구조물 또는 지형지물 등에 설치하여 자연낙차의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를 말한다. 2. "압력수조"란 소화용수와 공기를 채우고 일정압력 이상으로 가압하여 그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를 말한다. .. 2024. 1. 17.